애플리케이션 용량보다 전체 저장공간이 훨씬 많이 차지되는 이유는? 시스템 파일, 숨은 데이터 등 진짜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해 보세요.
앱 용량은 적은데 저장공간은 왜 부족할까? 스마트폰 저장공간의 숨겨진 진실
스마트폰을 사용하다 보면 ‘애플리케이션 용량은 6GB밖에 안 되는데 저장공간은 이미 30GB 이상 사용 중’이라는 데이터를 보며 저장공간 부족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습니다. 이런 현상은 단순히 앱 용량 문제만은 아니며, 우리가 쉽게 확인할 수 없는 다양한 요인들이 저장공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런 문제를 찾아서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는 꿀팁이 되겠습니다.
1. 시스템 및 기본 운영체제가 차지하는 공간
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 바로 안드로이드 시스템 자체입니다. 스마트폰 제조사와 모델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, 보통 운영체제(OS)는 10~15GB가량을 차지합니다. 여기에 삼성이나 LG 등 제조사 고유의 UI(One UI 등)와 기본 설치된 앱들도 포함되며, 이들은 삭제할 수 없고 일반 앱 목록에서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. 이러한 앱들을 찾아내어 제거가 아닌 캐시 삭제로 저장공간을 넓히는 방법이 되겠습니다.
2. 앱 외에도 공간을 차지하는 데이터들
애플리케이션이 6GB라고 해도, 각 앱이 사용하는 ‘캐시’와 ‘사용자 데이터’는 별도로 저장됩니다. 예를 들어 유튜브, 인스타그램, 카카오톡 같은 앱은 실행하면서 영상, 사진, 대화내용 등을 임시로 저장하는데, 이 데이터들이 수 GB 이상 누적될 수 있습니다. 특히 자주 사용하는 앱일수록 내부 저장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됩니다. 또 하나 사용자를 착각하게 만드는 것이 있는데요 내 갤러리에 사진이 몇 장 없어서 저장공간을 별로 차지하지 않겠지 하는 착각입니다. 막상 앱을 찾아 들어가 보면 누적된 데이터량은 많을 수 있습니다.
3. 사진, 영상, 다운로드 파일의 누적
스마트폰의 저장공간 중 상당 부분은 사용자가 직접 저장한 미디어 파일들이 차지합니다. 특히 고해상도 사진과 4K 영상은 용량이 매우 크며, 다운로드 폴더나 SNS 앱에서 받은 파일들이 쌓여있는 경우도 많습니다. 일부 숨겨진 폴더(예: 카카오톡/WhatsApp 미디어)도 공간을 꽤 차지할 수 있습니다. 저같은 경우가 그런데요 사진 몇 장 없고 보이는 파일 저장공간을 보면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정도의 데이터량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 그러나 막상 보이지 않는 데이터를 잦아서 보았을 때는 그 량이 상당함을 볼 수 있었습니다. 이 사실을 보기 전까지는 신경을 전혀 쓰지 않았지만 막상 앱을 찾아서 확인해 본 후 놀랐습니다. 누적된 데이터량이 상당함을 보았고, 그래서 저장공간에서 캐시를 바로 삭제했습니다.
4. 유튜브 앱이 안 보이는 이유
설정 메뉴에서 유튜브가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용량을 차지하지 않는 건 아닙니다. 유튜브는 일부 스마트폰에서는 ‘시스템 앱’으로 설치되어 있어, 설정 > 애플리케이션 > 시스템 앱 표시를 활성화해야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또한 앱 자체보다 내부에 저장되는 캐시와 임시파일이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아래 사진과 같이 디바이스 관리에서 볼 수 없었던 앱들을 애플리케이션에선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.
5. 저장공간 절약을 위한 팁
- 설정 > 저장공간 > ‘캐시 데이터 삭제’로 임시파일 정리
- 디바이스 케어 또는 Google Files 앱으로 불필요한 파일 정리
- 자주 사용하는 앱의 ‘캐시 삭제’ 수동 관리 (예: 유튜브, 인스타그램)
- 갤러리 외에 다운로드, SNS 폴더 등도 수시로 확인
6. 스마트폰 저장공간 확보 방법
불필요한 앱을 정리하면 저장공간을 빠르게 확보할 수 있습니다. 아래 예시처럼 설정 메뉴를 활용해 보세요.
1. 설정에서 ‘애플리케이션’ 관리 진입
설정 메뉴에서 애플리케이션 항목으로 들어가면 설치된 앱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.
2. 사용하지 않는 앱 확인 및 정리
앱 목록을 확인하여 사용하지 않는 앱을 선택해 삭제하거나 데이터/캐시를 정리하세요.
- 용량이 큰 앱: YouTube 등은 저장공간 클릭 후 캐시를 삭제하는 것만으로도 많은 저장공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.
- 클라우드 앱: U+ Box처럼 클라우드 기반 앱은 실제 데이터를 기기에 저장하지 않으므로 삭제해도 무방할 수 있습니다.
- 시스템 앱: USIM Agent, Workspace 등은 시스템 운영에 필요하므로 그대로 두는 것이 좋습니다.
저는 지금까지 앱 정리와 저장공간 확보를 위해 디바이스 관리를 통해 정리해 왔었습니다. 그러나 디바이스 저장공간에서 본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는 매우 적은데 총사용량을 볼 때에는 너무나 많은 데이터가 사용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고 그 원인을 찾게 되었습니다. 그리고 그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 디바이스가 아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그간 볼 수 없었던 앱들을 발견하게 되었고 그러한 대용량 앱들의 저장공간에 들어가서 캐시를 삭제하므로 많은 저장공간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. 저장공간 때문에 고생하신다면 꼭 실행해 보세요.